48. 바위에서 찾은 부처님 마애불(磨崖佛)
마애불의 ‘마애(磨崖)’는 바위를 갈아낸다는 의미입니다.우리나라 방방곡곡에는 단단한 화강암이 다수 분포되어 있습니다.마애불은 단단한 바위에 돋을새김이나 선각(線刻)으로 바위에 숨어 계시던 부처님(佛身)을 드러나게 한 불심(佛心)의 결과물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서산 마애불을 비롯하여 경주 칠불암·골굴암, 고창 도솔암, 파주 용미리, 남원 신계리와 여원재, 해남 북미륵암, 구례 사성암, 안동 제비원 등 수많은 마애불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서산 마애삼존불은 각각 과거, 현재, 미래를 상징하는 갈라보살, 석가여래, 미륵보살 등 삼세(三世) 상을 섬세하고 온화한 모습으로 돋을새김하여 백제의 미소라는 명성을 얻었습니다.마애불은 돋을새김보다는 구례 사성암처럼 간결한 선각으로 조성한 예가 많은데 물론 선 하나로 깨달..
2024. 11. 8.
47. 자유롭다. 나한상(羅漢像)
조석예불에서는 ‘영산에서 부처님께 부촉 받은 십대제자, 십육성, 오백성, 독수성 내지 천이백 아라한과 무량성중’에게 절을 합니다.나한은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의 성문사과(聲聞四果)에서 일체의 번뇌가 사라지는 경지인 아라한과(果)를 증득한 1,200명을 의미하는데 이들의 존상을 나한(아라한)상이라고 합니다. 나한은 응당 공양을 받을 자격이 있는 성자를 일컫는 말입니다.다른 말로 응공(應供), 응진(應眞), 살적(殺賊)이라고도 합니다.나한상은 16나한, 18나한, 500나한으로 조성되며, 넓게는 조사 및 스님의 상을 뜻하기도 하는데 해인사 희랑대사 상이 대표적입니다.한반도에서 나한이 본격적으로 예경의 대상이 되고, 다수의 존상이 조성된 시기는 선종이 유입된 라말여초(羅末麗初)로 봅니다. 사상적..
2024.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