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는 주변에서 석탑을 쉽게 볼 수 있는 ‘석탑의 나라’입니다.
한반도는 방방곡곡마다 우수한 품질의 화강암이 다량 산출됩니다.
현존하는 유물의 상당수가 돌로 만들어졌고, 돌의 종류도 수성암을 비롯하여 납석, 점판암, 대리석이 있지만 대다수는 화강암입니다.
화강암은 다른 암석보다 풍부하고, 돌의 질도 채석과 치석(治石)이 비교적 무난하여 건조물 축조와 조각에도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나무나, 종이, 흙, 금속으로 된 조형물은 화재 발생시 흔적도 없이 불에 타버리지만, 화강암은 비교적 불에도 잘 견디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석탑은 삼국시대 말기인 600년경 제작되었다고 봅니다.
불교를 받아들인 4세기 후반부터 6세기 말까지 약 200년은 목탑이 건립되었으며, 목탑의 노하우가 석탑 제작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이는 백제 무왕시절 목탑을 본떠 건립한 미륵사탑에서 확인됩니다.
백제인 아비지가 신라국의 황룡사탑 건립을 주도하고, 역시 백제인 아사달이 불국사 건립에 참여한 무영탑 설화가 전합니다.
이는 백제의 건축술이 당시를 선도하는 수준이었다는 방증입니다.
이후 삼국에서는 경쟁적으로 수많은 석탑이 건립되기 시작합니다.
감은사는 문무왕(661~681년)이 왜적의 침입을 막겠다는 염원을 담아 건립에 착수하여 사후에 아들인 신문왕이 682년 완성합니다.
감은사지 탑은 동일한 형식과 규모를 갖춘 3층의 동서 쌍탑입니다.
감은사지 탑은 전체적으로 웅장하면서도 엄격함이 특징입니다.
고선사지 탑은 축조 시기와 규모가 감은사지 탑과 비슷합니다.
고선사지 탑은 웅장하면서도 온화하고 부드러움이 특징입니다.
두 탑 모두 9m나 되는 장중함으로 통일신라의 힘을 보여줍니다.
두 탑보다 80년 늦게 세워진 불국사 석가탑은 간결한 아름다움과 완벽한 균형으로 이후에 건립된 3층 석탑의 전형(典型)이 됩니다.
이후 석탑은 기본 양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변화를 보입니다.
불국사 다보탑과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 실상사 백장암 3층 석탑, 양양 선림원지와 진전사지 3층 석탑 등 이형의 탑이 축조됩니다.
옛 백제 땅에는 부여 정림사지 석탑을 잇는 탑이 건립되는데, 부여 무량사 5층 석탑과 서천 장하리 3층 석탑이 고유특징을 보입니다.
고려의 석탑은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양식이 출현합니다.
옛 고구려 땅에는 6각과 8각의 다각다층탑이, 개성 주변에는 혼합 양식이, 원나라 침략기에는 다층다각의 라마양식 탑이 세워집니다.
1348년(충목왕 4) 세워진 개성 경천사지 10층 석탑은 일본인들이 몰래 가져갔다가 반환되어 국립 중앙박물관을 대표하고 있습니다.
원나라의 기술자가 참여하여 제작한 라마양식 상륜이 특징입니다.
탑골공원에 서 있는 원각사지 10층 석탑은 전체 형태와 세부구조, 표면 조각과 사용된 돌까지 경천사지 탑과 같다고 보면 됩니다.
탑은 기단과 탑신, 옥개석(지붕돌), 상륜부로 구성됩니다.
탑은 탑신과 지붕돌 숫자에 따라 3, 5, 7, 10층으로 구분합니다.
탑을 튼튼히 지탱하기 위해 지면에 설치한 부분이 기단입니다.
기단석은 땅을 파고 작은 돌 등으로 단단히 다진 후에 설치합니다.
기단부는 지대석, 하층기단, 상층기단 등 2·3층으로 구성됩니다.
탑신은 탑의 몸체로 사리를 안치하기 위한 사리공이 설치됩니다.
초기의 탑신석은 4개의 판석으로 구성되었지만, 후기에는 탑신부를 통돌로 만들고 우주와 탱주 문양을 새기는 형태로 간소화됩니다.
옥개석 즉 지붕돌은 초기 받침돌 3~5개와 1~2개 더 많은 수의 지붕돌로 구성되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통돌로 대체 됩니다.
즉 받침돌 부분은 층급 문양을, 지붕돌은 낙수면으로 처리합니다.
대개 사라진 상륜부는 찰주(擦柱)라 하는 쇠막대에 노반, 복발, 앙화, 보륜, 보개, 수연, 용차, 보주를 일렬로 꿰는 형태입니다.
노반은 쟁반, 복발은 발우. 앙화는 연꽃, 보륜은 법륜, 보개는 산개, 수연은 안개, 용차는 수레, 보주는 구슬로 이해하면 됩니다,
상륜부 원형은 남원 실상사 보광전 앞 좌우 쌍탑에서 확인됩니다.
불국사 석가탑 상륜도 실상사탑을 본떠 복원되었다고 알려집니다.
탑의 형태와 시대 구분, 발전과정은 한 권의 책으로도 부족합니다.
탑을 보면 삼배를 하고, 우요삼잡(右繞三匝)으로 예를 다합시다.
(보수 전 미륵사지 탑)
'불교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81. 구운 벽돌로 쌓은 전탑(塼塔) (0) | 2025.06.28 |
---|---|
79. 부처님의 몸 불탑(佛塔) (1) | 2025.06.14 |
78. 보리달마를 그린 달마도(達磨圖) (1) | 2025.06.06 |
77. 불지옥에서 만난 이슬 감로도(甘露圖) (1) | 2025.05.31 |
76. 마음으로 찾는 소! 심우도(尋牛圖) (0) | 202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