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는 자비(慈悲)라고 하는데 그 의미를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
자비는 범어로 ‘사랑하는 마음’을 의미하는 마이트리(maitri 慈)와 ‘불쌍하게 여김’을 뜻하는 카루나(karuna 悲)가 합쳐진 말입니다.
사랑하는 마음과 안타깝게 여기는 마음을 합하여 자비라 합니다.
관세음보살은 자비로써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입니다.
범어로는 ‘아바로기데스바라(Avalokitesvara)’로 관세음(觀世音), 광세음(光世音), 관자재(觀自在)보살이라고도 합니다.
관세음보살보문품에는 ‘대자대비의 보살’로 나오는데 이는 어려움을 당해 그 이름을 부르기만 해도 나타나서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관세음보살상은 관음신앙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변화를 보이는데 ‘보관에 아미타 화불(化佛)을 새기고, 왼손에 감로수병, 오른손에는 연꽃을 들고 있다.’고 합니다만 좌우가 바뀌기도 합니다.
감로수(甘露水)는 불사(不死)를, 연꽃은 미래 성불을 의미합니다.
관음(원통)전 주존으로 봉안할 때는 좌우에 남순동자와 해상용왕이 협시하기도 하며, 주로 아미타불의 왼쪽 협시보살로 봉안됩니다.
변화관음으로는 11개의 얼굴을 보이는 십일면관음, 천 개의 손을 가진 천수관음, 밧줄을 든 불공견삭관음, 여의륜을 든 여의륜관음, 심성청정한 여성의 준제관음, 말 머리를 이고 있는 마두관음, 물에 비친 달그림자 수월관음, 버들가지 휘듯 소원을 이루는 양류관음, 흰옷에 흰 연꽃을 든 백의관음 등 33관음이 있습니다.
보통 천수천안관세음보살은 1천 개의 손과 눈을 가졌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만 실제 손과 눈을 세어보니 각 42개라서 의아합니다.
이는 본래 두 손과 눈을 예외로 하고 각 40개의 손과 눈이 있으며, 이들이 각기 25유(有)이니(40×25유) 1천 개의 손과 눈이 됩니다.
25유는 ‘존재’를 의미하며 3계 6도에서 생사윤회를 반복하는 유정 중생들의 상태를 25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데서 비롯됩니다.
40개의 손에는 지혜의 불안(佛眼)을 새겨 중생들의 실상을 살피는 한편 불경인 경협(經篋), 칼, 머리 장식, 명왕과인 구연과(俱緣菓), 도끼인 월부(鉞斧), 갈고리인 구(鉤), 벼락무기인 금강저(金剛杵), 보배 깃발인 보당(寶幢), 연꽃, 감로수가 든 정병, 생명을 살리는 밧줄 견삭(羂索), 법륜(法輪), 중생을 일깨우는 나팔 라(螺), 지혜 항아리 현병(賢甁) 등을 지물로 들고 있습니다.
이들 맞춤형 연장은 중생들의 어려움을 구해준다는 의미입니다.
중생의 근기에 따라 몸을 바꾸어 나타나 도움을 주는 관음보살은 불신, 벽지불신, 성문신, 범왕신, 제석신, 자재천신, 대 자재천신, 천대장군신, 비사문신, 소왕신, 장자신, 거사신, 재관신, 바라문신, 비구신, 비구니신, 우바새신, 우바이신, 장자 부녀신, 거사 부녀신, 재관 부녀신, 바라문 부녀신, 동남 동녀신, 천신, 용신, 건달바신, 야차신, 아수라신, 가루라신, 긴나라신, 마후라가신, 집금강신 등 32신(身)의 변화된 몸으로 나타납니다.
이 모습을 잘 표현한 불화가 도갑사 작 ‘관음 32응신도’입니다.
불행히도 이 불화는 일본 지은원(知恩院)에 소장되어 있답니다.
오늘도 ‘나무 관세음보살’입니다.
'불교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42. 지혜의 문수보살상(文殊菩薩像) (1) | 2024.09.28 |
---|---|
41. 지옥문을 여는 지장보살상(地藏菩薩像) (0) | 2024.09.21 |
39. 동방 유리정토 약사불상(藥師佛像) (0) | 2024.09.07 |
38. 서방정토 아미타불상(阿彌陀佛像) (0) | 2024.08.31 |
37. 천백억 화신 석가모니불상(釋迦牟尼佛像) (2) | 2024.08.26 |